본문 바로가기
일상 그리고 나 답게 행복 만땅

"비만약의 혁신 위고비와 마운자로의 효과 비교 및 현재 이슈 분석"

by 모두가 친구 2023. 11. 10.
반응형

 

 

"29kg 빠졌다"…일라이릴리 '끝판왕 비만약' 美 FDA 승인

비만 환자의 삶을 바꾸는 ‘라이프 체인저(life changer)’가 나왔다. 미국 제약사 일라이릴리가 개발한 비만약 ‘젭바운드’가 미국에서 시판 허가를 받으면서다. 지난해 당뇨약으로 허가받은 ‘

n.news.naver.com

 

1.비만약이 이슈화 되는 이유

 

(1)최근에 개발된 비만약들은 체중 감량 효과가 놀라울 정도로 뛰어나서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2)특히, 노보 노디스크가 개발한 '위고비'와 일라이릴리가 개발한 '마운자로'와 같은 비만약들은 확실한 체중 감소 효과를 보여주면서 제약 및 바이오 업계를 크게 흔들었습니다.


(3)이들 약물의 성공으로 인해 해당 제약회사들의 주가는 크게 상승하였고, 이로 인해 전 세계에서 가장 비싼 제약회사로 등극하였습니다.


(4)이러한 비만약들의 성공은 비만 관리 시장의 판도를 크게 바꾸었으며, 투자자들에게도 신약의 성공과 그 파괴력을 실감시켰습니다.


(5)또한, 세계 비만시장 규모가 앞으로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비만약이 현재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비만이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더욱 그렇습니다. 

이러한 비만약들의 성공은 비만 치료에 있어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2.젭바운도와 마운자로, 위고비의 차이

 

(1)성분 및 작용 방식

위고비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GLP-1) 이라는 인크레틴을 모방하는 약물입니다.

반면에 마운자로는 GLP-1 뿐 아니라 GIP라는 인크레틴 또한 모방하여 작용합니다.

이는 마운자로가 이중 작용 (dual action)을 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마운자로가 혈당 조절 뿐 아니라 체중 감량 면에서도 더 뛰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2)FDA 승인 용도

위고비는 12세 이상 성인 및 청소년의 만성 체중 관리를 위해 승인되었습니다.

당뇨병 치료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마운자로는 성인의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승인되었고, 적절한 식이와 운동을 병행할 때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단독 사용 또는 다른 당뇨병 약제와 병용할 수 있습니다.

(3)체중 감량 효과

위고비의 경우 평균 체중의 15% 감량 효과가 있습니다.

반면에 마운자로의 경우 이보다 더 높은 15~22%의 체중 감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4)국내 출시 시기

위고비는 내년 국내 시판 예정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마운자로도 비만 적응증으로 미국에서 현재 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되어 빠른 허가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반응형

"29kg 빠졌다"…일라이릴리 '끝판왕 비만약' 美 FDA 승인
"29kg 빠졌다"…일라이릴리 '끝판왕 비만약' 美 FDA 승인

 

1. 미국 제약사 일라이릴리가 개발한 비만약 '젭바운드'가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승인을 받았습니다.


2. 젭바운드는 당뇨약 '마운자로'와 같은 성분으로, 기존 위밴드 수술 수준의 체중 감량 효과를 보여 비만 치료 패러다임을 바꿀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젭바운드는 GLP-1과 GIP라는 두 가지 표적에 약효를 내는 GLP-1 이중작용제로, 비만약으로 허가받은 첫 제품입니다.


4. 임상 3상 시험에서 평균 체중이 105㎏인 성인에게 젭바운드 15㎎을 72주간 투여하면 체중이 최대 22.5%(23㎏) 감소했습니다.


5. 비만약 수요는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며, 일라이릴리는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노스캐롤라이나와 인디애나에 있는 생산시설을 확충하고 있습니다.


6. 젭바운드 한 달 투여 약값은 1060달러(약 139만원)로, 경쟁약인 노보노디스크 비만약 위고비(1350달러)보다 20% 정도 저렴합니다.


7. 젭바운드 허가 전에도 같은 성분 약인 마운자로를 비만 용도로 활용하는 환자가 늘면서 이 치료제 수요는 급증했습니다.


8. 의료계에선 "진정한 비만약 시대가 열렸다"며 "비만이 심각한 질환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게임 체인저가 아니라 라이프 체인저가 등장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9. 모건스탠리는 지난해 24억달러였던 세계 비만시장 규모가 2030년 77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10. 일라이릴리는 GLP-1 계열 치료제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노스캐롤라이나와 인디애나에 있는 생산시설을 확충하고 있습니다.

반응형